👨🏻🏫 fastcampus 알고리즘/기술면접 완전 정복 올인원 패키지 - 이준희 강사님
1. 구조
- 연결 리스트
- 어떤 데이터를 저장할 때 그 다음 순서의 자료가 있는 위치를 데이터에 포함시키는 방식으로 자료를 저장
- 링크드 리스트는 떨어진 곳에 존재하는 데이터를 화살표로 연결해서 관리하는 데이터 구현
- 리스트 타입이 링크드 리스트의 기능 지원
- 기본 구조와 용어
- 노드(Node) : 데이터 저장 단위 (데이터 값, 포인터)로 구성
- 포인터(Pointer) : 각 노드 안에서, 다음이나 이전의 노드와의 연결 정보를 가지고 있는 공간

2. 장단점(전통적인 C언어에서의 배열과 링크드 리스트)
- 장점
- 미리 데이터 공간을 할당하지 않아도 됨
- 배열은 미리 데이터 공간을 할당 해야 함
- 미리 데이터 공간을 할당하지 않아도 됨
- 단점
- 연결을 위한 별도 데이터 공간이 필요하므로, 저장공간 효율이 높지 않음
- 연결 정보를 찾는 시간이 필요하므로 접근 속도가 느림
- 중간 데이터 삭제 시, 앞뒤 데이터의 연결을 재구성해야 하는 부가적인 작업 필요
3. 링크드 리스트의 복잡한 기능 (링크드 리스트 데이터 사이에 데이터를 추가)
- 링크드 리스트는 유지 관리에 부가적인 구현이 필요함

4. 구현
class Node:
def __init__(self, data, next = None):
self.data = data
self.next = next
class NodeMgmt:
def __init__(self, data):
self.head = Node(data)
def add(self, data):
if self.data = '':
self.head = Node(data)
else:
node = self.head
while node.next:
node = node.next
node.next = Node(data)
def desc(self):
node = self.head
while node:
print(node.data)
node = node.next
def delete(self, data):
if self.head = '':
print('해당 값을 가진 노드가 없습니다.')
return
if self.head.data == data:
temp = self.head
self.head = self.head.next
del temp
else:
node = self.hea
while node.next:
if node.next.data == data:
temp = node.next
node.next = node.next.next
del temp
return
else:
node = node.next
linkedlist1 = NodeMgmt(0)
linkedlist1.desc() # 0
for data in range(1, 10):
linkedllist1.add(data)
linkedlist1.desc()
# 0
# 1
# ...
# 9
linkedlist1.delete(0)
linkedlist1.desc()
# 1
# ...
# 9
5. 다양한 링크드 리스트 구조
- 더블 링크드 리스트(Double linked list) 기본 구조
- 이중 연결 리스트라고도 함
- 장점 : 양방향으로 연결되어 있어서 노드 탐색이 양쪽으로 모두 가능

class Node:
def __init__(self, data, prev = None, next = None):
self.prev = prev
self.data = data
self.next = next
class NodeMgmt:
def __init__(self, data):
self.head = Node(data)
self.tail = head
def insert(self, data):
if self.head == None:
self.head = Node(data)
self.taol = self.head
else:
node = self.head
while node.next:
node = node.next
new = Node(data)
node.next = new
new.prev = node
self.tail = new
def desc(self):
node = self.head
while node:
print(node.data)
node = node.next
double_linked_list = NodeMgmt(0)
for data in range(1, 10):
double_linked_list.insert(data)
double_linked_list.desc()
# 0
# 1
# ...
# 9
6. 백준 문제
'자료구조 & 알고리즘 > 이론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자료구조] 트리(Tree) (0) | 2022.09.19 |
---|---|
[알고리즘] 동적 계획법 (Dynamic Programming) (0) | 2022.09.08 |
[알고리즘] 정렬 알고리즘 (0) | 2022.09.07 |
[자료구조] 큐(queue) 파이썬으로 구현하기 (0) | 2022.04.08 |
[자료구조] 스택(stack) 파이썬으로 구현하기 (0) | 2022.04.08 |
댓글